전체 글37 [보완] 쿠버네티스 스토리지와 CSI Driver *본 게시글의 내용은 개인 학습내용과 더불어 가시다님의 노션 페이지와 스터디 자료인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도서' 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Stateful vs Stateless Stateful 애플리케이션은 상태(State)가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로컬 또는 외부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 서버0는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이전에 처리한 요청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Stateful 애플리케이션에는 "순서"가 있고, "이전 상태"에 따라 어떤 동작을 할 지 결정된다. 반면, Stateless 애플리케이션은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어딘가에 저장했다가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매 Re.. 2023. 4. 8. [보완] kubernetes 워커노드를 spot instance로 구성하기(Node Termination Handler) *본 게시글의 내용은 개인 학습내용과 더불어 가시다님의 노션 페이지와 스터디 자료인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도서' 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노드를 spot instance로 띄우면 더 저렴하지 않을까?" 지난 1주차에서 Kops를 처음 다루어 보면서 몇 가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에는 kOps 환경에서 노드를 스팟 인스턴스로 띄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Ops를 spot instance로 구동할 수 있을까? 워커노드를 spot 인스턴스로 변경하기 Node Termination Handler는 kOPs 클러스터의 매니페스트를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 kops edit cluster --name ${KOPS_CLUSTER_NAME} AWS 블로그에서.. 2023. 4. 2. [4주차]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본 게시글의 내용은 가시다님의 노션 페이지와 스터디 자료인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도서' 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Metric server와 cAdvisor cAdvisor 구글이 만든 오픈소스 컨테이너 모니터링/시각화 솔루션이다. 컨테이너별 실시간 리소스 사용량을 컨테이너 런타임으로부터 전달받아 대시보드에 보여주며, 처리결과를 kubelet으로도 넘겨준다. 독립적인 이미지로도 지원하고 있으며 쿠버네티스 환경이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kubelet에 포함되어 데몬 형태로 동작하며 kubelet과 매우 긴밀히 연계한다. cAdvisor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도커 데몬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호스트의 path를 cAdvisor 컨테이너 볼륨으로 마운트하기 .. 2023. 4. 2. [3주차] GitOps와 ArgoCD *본 게시글의 내용은 가시다님의 노션 페이지와 스터디 자료인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도서' 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개요 ArgoCD나 k8s의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은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번 핸즈온 해 보았으므로(AWS CodeSeries, Harbor-Jenkins-ArgoCD, GitHub Action 등), 실습 내용보다는 사용하면서 추상적임에도 당연하게 받아들여왔던 GitOps의 개념과 ArgoCD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GitOps GitOps란? 깃옵스는 프로젝트에 DevOps를 적용하기 위한 여러 컨셉 중 하나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CD)를 위한 방법이다. '개발과 운영의 경계를.. 2023. 3. 26.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