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12 사용자 수에 따른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성 사용자 수에 따른 아키텍처 구성 1. 사용자가 본인 1명일 때 가장 먼저 EC2 생성 EC2위에 웹서버나 DB, 애플리케이션 등 설치해서 사용 고정 Public IP가 필요하기 때문에 Elastic IP 필요 Elastic IP는 DNS서비스인 Route 53으로부터 DNS 등록이 되고, 사람들은 이 DNS name을 통해서 우리가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게 됨 관리는 쉽지만 모든 리소스가 하나의 인스턴스에 있기 때문에 장애 발생시 서비스가 바로 영향을 받게 된다 2. 사용자가 n명일 때 - 인스턴스 경량화 아무리 스케일링을 해도 나 혼자만 쓸 때보다는 결국에는 한계 용량에 도달하게 됨 먼저 기능에 따라 인스턴스의 역할을 나눈다 이 경우 DB 인스턴스를 분리시키면서 직접 관리할 것인지, 관리형 서비.. 2020. 12. 28. [AWS Builders 200] Amazon VPC와 ELB/Direct Connect/VPN 요약 VPC 1. 개요 Virtual Private Cloud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의 AWS 클라우드의 가상 데이터센터이자 네트워크 환경이며 논리적으로 격리됨 사용자별 네트워크 제어 가능 VPN, DirectConnect를 이용하면 온프레미스와 연결 가능 VPC 설정 단계 IP 범위 지정 용도에 따른 Subnet 분리 Routing Table Security Group, NACL Gateway : Internet Gateway, NAT Gateway, Virtual Gateway 2. 초기 설정 1) Region 선택 서울은 3개 가용영역(서울 2개 , 용인1개로 알려짐) 운영중이며 2020년 7월에 AWS에서 4번째 AZ에 대해서 논의 2) 서브넷 및 CIDR 설정 [1] AZ에 Subnet 설정 IP 범위.. 2020. 12. 28. [AWS SAA]AWS SOLUTIONS ARCHITECT C02 STUDY - 영역 2: 성능이 뛰어난 아키텍처 정의 목차 [1. Elastic Cache] [2. Amazon DynamoDB] [3. Amazon Redshift] [4. Amazon Aurora] [5. Amazon Route 53] [6. AWS CloudTrail] [7. AWS Elastic Beanstalk] [8. AWS OpsWorks] [9. AWS CloudFormation] [10. AWS Lambda] [11. AWS API Gateway] 1. Elastic Cache Elastic Cache란? 인메모리 관리형 캐시 서비스. 세션 정보나 임시 데이터를 순간적으로 처리하는데 최적화 되어있고, DB에서 자주 액세스되는 정보들을 메모리 기반으로 빠르게 캐싱하여 웹 인스턴스에 실시간 처리하여 응답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관리형이기 때문.. 2020. 12. 22. [AWS SAA]AWS Solutions Architect C02 study - 영역 1: 복원력을 갖춘 아키텍처 설계 목차 1. CloudFront 2. ELB 3. Auto Scaling 4. SQS 5. SNS 6. EC2 7. EBS 8. EFS 9. S3 10. RDS 11. CloudWatch 1. Amazon CloudFront 리전(Region)과 가용 영역(Available Zone) AWS는 전 세계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주요 도시에 IDC(Internet Data Center)를 운영하고 있다.주요 국가에 '리전'을 운영 중이며,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가까운 리전으로부터 빠르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리전은 가용 영역(AZ)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AZ가 기존의 IDC이다. 하나의 리전에는 여러 개의 가용 영역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가용 영역이 이용 불가능한.. 2020. 12. 18. 이전 1 2 3 다음